청년도약계좌는 종료, 청년미래적금은 도입! 뭐가 어떻게 달라질까?
2025년을 기점으로 청년도약계좌가 종료되고, 청년미래적금이 새롭게 도입됩니다. 두 상품은 모두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한 제도지만, 가입 기간과 정부 지원 방식, 운영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두 제도를 꼼꼼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2025년 12월까지만 가입 가능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가입 기간이 5년으로 고정되어 있었습니다.
월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납입이 가능했고, 정부는 소득 구간에 따라 기여금을 지급해 사실상 연 9%대 금리 효과를 제공했습니다.
또한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있었지만, 긴 기간과 중도 해지 시 불이익, 까다로운 조건들이 단점으로 지적되었죠.
신규 가입은 2025년 12월 31일까지 가능하며, 이후엔 더 이상 가입할 수 없습니다.
청년미래적금, 2026년부터 새롭게 시작
청년미래적금은 기존 제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되는 정책입니다.
가입 기간은 1년~3년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납입액 일부를 정부가 매칭해 최대 25%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부분 인출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어, 긴급 자금이 필요할 때 일부만 찾아 쓸 수 있어 훨씬 유연한 자산 관리가 가능합니다.
세제 혜택은 청년도약계좌와 동일하게 비과세가 유지될 예정입니다.
두 상품의 가장 큰 차이점은?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 |
---|---|---|
가입 기간 | 5년 고정 | 1~3년 선택 |
납입 한도 | 월 최대 70만원 | 월 1~15만원 예상 |
정부 지원 | 소득 구간별 기여금 | 납입액 일부 매칭(최대 25%) |
중도 인출 | 불가 | 부분 인출 가능 |
세제 혜택 | 이자 소득 비과세 | 동일 |
가입 대상은 어떻게 달라질까?
두 제도 모두 만 19세~34세의 근로·사업소득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다만 청년미래적금은 중소기업 근로자, 사회초년생에 더 특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장기 안정적 저축을 원하는 청년은 청년도약계좌가 유리했지만, 단기 목돈 마련을 원하는 청년은 청년미래적금이 더 실용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전환과 중복 가입은 가능할까?
기존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청년미래적금으로 자동 전환되는 제도는 없습니다.
또한 중복 가입 시 정부 지원금이 중복 지급되는 문제 때문에 제한됩니다.
따라서 청년은 기존 계좌를 그대로 유지할지, 해지 후 새로운 상품에 가입할지 스스로 선택해야 합니다.
각각의 조건과 혜택을 꼼꼼히 따져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약: 내게 맞는 선택은 무엇일까?
청년도약계좌는 긴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큰 금액을 모으기에 좋습니다.
반대로 청년미래적금은 단기간, 유연한 조건 속에서 목돈을 마련하기에 최적화된 상품입니다.
둘 다 청년 자산 형성을 돕는 핵심 정책인 만큼, 본인의 재무 상황과 목표를 기준으로 선택해야 후회 없는 재테크가 될 것입니다.
💰 청년미래적금 한눈에 보기
조건·신청 방법·중복 여부를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 조건 충족 여부 확인 후 신청해야 불이익이 없습니다.
중복 가입 가능성·비과세 여부는 최신 공고를 꼭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