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막기 위한 정부의 특급 카드, 뭐가 달라졌을까?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지역. 우리가 ‘인구감소지역’이라고 부르는 곳이죠. 2025년 대한민국 정부는 이런 지역의 소멸을 막기 위해 전방위적 지원책을 본격 가동하고 있습니다. 세금 감면, 창업 유도, 주택 혜택, 특별법 시행 등 이 정도면 솔직히 ‘지역민 특급 대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예요. 지금부터 그 내용을 하나씩 짚어볼게요.
창업·사업장 이전 시, 세금 부담 확 줄어듭니다
인구감소지역에 법인이나 사업장을 새로 열면,
부동산 취득세·재산세가 무려 5년간 ‘완전 면제’됩니다.
그리고 추가로 3년 동안은 50% 경감도 가능해요.
뿐만 아니라 법인지방소득세 세액공제라는 파격적인 혜택도 마련되어 있어요.
덕분에 지방에서 일자리를 만들면 그 자체로 인센티브가 생기는 셈이죠.
장기근속한 숙련 근로자에게는 주민세 과세표준 공제도 주어지는데,
이건 고용 안정성과 지역 정착을 동시에 꾀하는 전략입니다.
집 사면 취득세 300만 원 감면까지 가능해요
지방에 처음으로 집을 사는 분들에겐 진짜 좋은 소식.
생애최초 주택 구입 시 취득세 감면 한도가 200만 원 → 300만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게다가 인구감소지역의 미분양 아파트를 구입하면 취득세를 또 감면해줘요.
다주택자라도 이 지역에선 중과세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부담이 적습니다.
정부는 이렇게 해서 지방 주택 시장을 활성화하고,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려는 거죠.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뭔가 다르다
이 법은 2022년에 제정되어 2023년부터 본격 시행됐어요.
이제 인구감소지역을 국가가 ‘법적으로’ 체계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길이 열린 겁니다.
기업 유치부터 인재 양성, 외국인 유입까지 모두 이 법의 대상입니다.
지역별 맞춤형 계획을 수립하고, 주기적으로 평가까지 해 실효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기존의 단기 프로젝트와는 확실히 다릅니다.
지방소멸 대응기금, 누가 얼마나 받았을까?
이건 진짜 중요한 예산입니다.
정부는 소멸위험이 높은 51개 지역을 골라
‘지방소멸 대응기금’을 집중적으로 배분했어요.
선정 기준도 꽤 정교합니다.
인구 증감률, 청년 유출, 출산율, 의료 환경, 정주 여건, 지자체 정책 역량 등
다양한 요소를 복합적으로 분석해 순위를 정합니다.
그 돈은 일자리, 의료, 돌봄, 생활 기반 시설에 쓰이게 되죠.
즉, 생활의 질을 높여 지역을 떠나지 않게 하려는 겁니다.
2025년, 594개 과제에 무려 3조 원 투입!
올해 정부는 인구감소지역에 무려 3조 2,728억 원 규모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어요.
그 대상이 되는 사업만 해도 594개나 됩니다.
생활 인구 유입, 지역 청년 인재 양성, 지역 특화 산업 육성 등
정말 다양한 목표로 사업이 추진 중이에요.
이쯤 되면 단순히 ‘지원’을 넘어서
지역 자체를 리디자인하고 재건축하는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혜택, 어디서 신청하면 될까?
각종 세금 감면은 지자체 세무과와 시군구청,
지원사업은 각 시군구청 또는 지방중소벤처기업청, LH 등에서 운영합니다.
가장 중요한 건 ‘내가 사는 곳이 인구감소지역인지 확인하는 것’.
행정안전부나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 가면 인구감소지역 리스트가 나와요.
지역별 특화된 정책도 많기 때문에
지자체 홈페이지는 한 번쯤 꼭 들어가 봐야 해요.
정리하면, 이건 지방의 르네상스 시작이다
이젠 지방이라고 무조건 불리한 시대는 지났습니다.
정부가 직접 개입하고 혜택을 강화하며 사람을 다시 불러들이고 있어요.
세금도 줄고, 집값도 낮고, 정부 지원도 쏟아지는 지금.
만약 귀촌을 고려하고 있다면, 지금이 진짜 타이밍일 수 있습니다.
더는 ‘지방 = 불편’이라는 공식은 맞지 않아요.
지방이 기회가 되는 시대가 도래한 겁니다.
🏡 2025 인구감소지역 지원정책
세금 감면 · 주택 혜택 · 창업 지원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 인구감소지역 주민은 주택 공급, 세금 감면, 청년·창업 지원 등
다양한 정부 인센티브를 통해 정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